티스토리 뷰
목차
2022년 강릉에서 발생한 급발진 의심 사고에서 법원은 제조사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.
과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?
급발진 사고에서 개인이 제조사를 상대로 승소하기 어려운 현실과 법적 판단의 기준을 함께 살펴봅니다.
📍 사건 개요 – 평범한 하루에 닥친 끔찍한 사고
2022년 12월,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의 한 도로에서 60대 여성 A씨가
운전하던 차량이 배수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
동승하고 있던 12세 아동 이도현 군은 큰 부상을 입고 사망에 이르렀습니다.
유족은 사고 원인을 단순한 운전 실수로 보지 않고,
차량의 급발진 현상, 즉 ECU(전자제어장치) 결함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.
이에 따라 **차량 제조사인 KG모빌리티(구 쌍용자동차)**를 상대로
약 9억 2천만 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.
✅ 2022년 강릉 급발진 의심 사고 요약
🧾 사건을 한눈에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
📍 사고 일시/장소
2022년 12월 /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 도로
📍 사고 내용
60대 여성 운전자가 운전하던 차량이 도로 옆 배수로로 추락,
동승한 12세 아동(이도현 군) 사망
📍 유족 주장
차량의 **급발진(전자제어장치 ECU 결함)**이 원인
→ KG모빌리티 상대로 약 9억 2천만 원 손해배상 소송
📍 1심 법원 판결
-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로 착각했을 가능성을 인정
- ECU 결함 증거 불충분
- 제조사 책임 불인정 → 유족 패소
- 유족은 항소 예정
📍 핵심 의미
급발진 사고에서 개인이 제조사 과실을 입증하는 것이 매우 어려움
❓ 왜 법원은 '급발진' 사고로 인정하지 않았을까?
1심 재판부는 사고에 대해 다음과 같은 판단을 내렸습니다.
⚖️ 주요 판단 근거
- 운전자의 조작 착오 가능성
→ 사고 당시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로 착각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봄 - 결함 입증 부족
→ 유족 측이 주장한 전자제어장치(ECU)의 오류를 입증할 객관적 증거 부족 - EDR, 블랙박스 등 데이터 부족
→ 사고 원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정보 부족
결국, 차량에 결함이 있었다는 점을 유족 측에서
완전히 입증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제조사의 책임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.
⚠️ 급발진 사고, 개인이 제조사 상대로 승소하기 어려운 이유는?
급발진 사고 소송에서 개인이 승소하기 어려운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
입증 책임 | 피해자가 제조사의 제품 결함을 입증해야 함 |
전문성의 한계 | ECU, 소프트웨어 등 기술적 분석이 고도로 복잡함 |
데이터 확보의 어려움 | 사고 시점의 주행 기록, 차량 상태 데이터가 불충분한 경우 많음 |
제조사의 대응력 | 제조사는 고의나 과실을 인정하지 않고 운전자 과실을 주장 |
📌 이 구조 때문에 대부분의 급발진 의심 사고는 결국 ‘운전자 과실’로 결론이 나고 맙니다.
😥 유족의 절규와 남겨진 질문
이번 사고에서 아들을 잃은 유족은 판결에 대해
깊은 유감을 표하며 항소를 예고했습니다.
이들은 말합니다.
“차량에 문제가 있었는데, 왜 우리가 모든 것을 입증해야 하나요?”
이 질문은 단지 한 가족의 절규에 그치지 않고,
한국 사회 전체가 고민해야 할 법적 시스템과 책임 구조에 대한 문제를 제기합니다.
🔁 유사 사고도 현재진행형
- 서울 여의도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도 77세 경비원이 대리주차
중 12대를 연쇄 추돌하는 사고 발생 - 이 사고도 급발진 의심 사례로 민사소송 진행 중
- EDR(사고 기록 장치) 분석 결과에 따라 책임 소재가 결정될 예정
🔎 사고를 대비하기 위한 현실적 방법
- EDR(사고기록장치) 탑재 차량인지 확인
- 블랙박스 영상 주기적 점검 – 사고 순간 증거 확보가 중요합니다
- 사고 발생 시 자동차 전문가 또는 변호사와 즉시 상담
- 교통안전공단, 소비자원 등 공공기관에 결함 신고 또는 조사 요청
- 그리고 만약 주행 중 갑자기 차량이 급가속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?
💬 마무리 – 감정과 기술 사이, 우리는 무엇을 믿어야 하나
급발진 사고는 우리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현실입니다.
하지만 사고 원인을 입증하는 책임은 오롯이 피해자 개인에게 지워지고 있습니다.
이번 강릉 사고 판결은 단순한 사건 하나를 넘어서,
**"기술 결함 앞에서 우리는 얼마나 보호받고 있는가"**라는 질문을 던집니다.
📌 시스템 개선이 없다면, 다음 피해자는 누구일지 알 수 없습니다.